티스토리 뷰


목차



    728x90
    반응형
    서울시 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 출산가구 지원, 이렇게 달라졌어요!

    출산 준비, 축하받아야 할 일인데도 한편으론 걱정되는 게 현실입니다.
    특히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라면 더 그렇죠. 쉴 틈 없이 일해야 하는데, 출산휴가나 급여 같은 기본적인 지원조차 받기 어려웠습니다.

    서울시가 이런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‘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 출산가구 지원제도’를 시작했습니다.
    출산한 본인도, 배우자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!
    자세히 알아볼까요?

     



     

    서울시, 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 출산급여 지원 발표!!

    서울시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한 전국 최초의 출산급여 지원책을 발표했다. 지원 내용: * 출산한 여성 자영업자와 프리랜서: 기존 고용보험 지원 150만원에 서울시가 90만원 추가 지원(

    jjlovely.tistory.com

    ① 엄마를 위한 출산급여 지원

    📌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    • 서울시에 살고 있는 1인 자영업자, 프리랜서, 특수고용직(노무제공자)
    • 고용보험 출산급여 대상이 아닌 사람
    • 출산일 기준, 본인과 아기가 서울에 거주해야 합니다.

    📌 얼마나 지원하나요?

    • 총 240만 원 지원 (정부 150만 원 + 서울시 90만 원 추가 지원)
    • 만약 쌍둥이나 세쌍둥이 출산이라면? 총 320만 원으로 확대 지원!

    ② 아빠를 위한 출산휴가급여 지원

    📌 대상은 누구인가요?

    • 서울 거주 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·노무제공자 중, 배우자가 출산한 경우

    📌 조건은 뭘까요?

    • 출산 후 90일 이내에 꼭 출산휴가를 사용해야 합니다.
    • 신청일 기준, 본인·배우자·아기 모두 서울 거주
    • 출산일 전 18개월 동안 최소 3개월 이상 소득활동을 했다는 증빙 필요
    • 소득이 많든 적든,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!

    📌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?

    • 최대 80만 원 지급

    ③ 언제, 어디서 신청하면 될까요?

    📅 신청 가능한 기간

    3월 11일부터 몽땅정보만능키 누리집서 신청

    지원 유형 신청 가능 기간
    출산급여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
  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출산휴가 끝난 후 1년 이내

    2024년 4월 22일~6월 30일 사이 출산한 경우, 예외적으로 2025년 6월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💻 신청 방법



    ④ 신청하면 얼마나 빨리 받을 수 있나요?

    신청서를 접수하면, 최대 14일 이내에 지원 여부를 알려드립니다.
    서류만 잘 갖춰서 제출하면, 빠르게 지원금도 입금될 거예요.

    ⑤ 왜 이 제도가 중요할까요?

    1인 자영업자·프리랜서는 그동안 출산휴가도, 출산급여도 제대로 된 지원을 받기 어려웠습니다.
    일을 멈추면 곧바로 수입이 끊기니까, 출산휴가조차 사치처럼 여겨졌던 게 현실이죠.

    서울시는 그런 불합리한 상황을 바꾸기 위해 처음으로 이 정책을 만들었습니다.

    일하는 부모가 아이를 낳고,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보장받는 것.
    당연한 권리를 이제서야 누릴 수 있게 된 겁니다.

    서울시는 앞으로도, 누구나 안심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
    현실적인 지원을 계속 늘려나갈 계획입니다.

    ⑥ 궁금한 건 어디서 물어보면 되나요?

    📞 다산콜센터 120
    💻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

   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!
    작은 지원이지만, 출산가구에 꼭 필요한 든든한 응원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. 😊

    728x90
    반응형